HTTP 404 Status Code 에 대한 고찰
뭐가 문제였나 필자는 현재 HMR(가정간편식) 커머스를 다루는 모 스타트업에서 백엔드 개발자로 재직 중이다. 말이 백엔드지 최근 변화되고 있는 트렌드에 맞춰 열심히 API 작성 셔틀을 하고 있다. API 개발에 주로 사용하는 HTTP 상태 코드는 주로 200 (정상), 400 (잘못된 요청), 401 (보안 토큰 에러), 403 (권한 없음), 404 (찾을 수 없음) 정도가 있었다. 문제는 여기에서 발생했는데, API를 계속 개발해 나가다 보니 ..
개인공부/웹, 데이터베이스
2017.06.12 01:25
[Node.js] Telegram Bot으로 API 서버 에러를 보고 받아보자
아아.. 블로그 포스팅을 할 건 많은거 같은데 회사 일이 바쁘다 보니 자꾸만 밀린다 ㅜㅜ.. 이건 API 서버 개발하다가 정말 유용하게 쓰고 있는 API 서버의 에러를 텔레그램 봇으로 받는 구현체 예제입니다. API 서버의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Node.js 7.x Express.js ECMA2016 텔레그램 봇이 급하신 분들은 errorHandler.js 만 보세요. 테스트로 사용한 전체 소스코드는 Gist 를 참고 바랍니다. 선 스크린샷..
개인공부/Node.js
2017.05.11 12:37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
- OpenSuse
- ubuntu
- DB
- 캘리그라피
- Linux
- 일상다반사
- 아우름제
- C
- 오픈수세
- Nachos
- 우분투
- 프로그래밍
- 소켓
- Java
- 가톨릭대
- 리눅스 민트
- 자바
- php
- 알고리즘
- 맛집
- 나초스
- 한성
- mysql
- 역곡
- 리눅스
- 개발자
- MariaDB
- system
- Node.js
- 운영체제
- Total
- 2,043,756
- Today
- 237
- Yesterday
- 1,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