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양정진 교수님의 데이터 통신, 정보시스템 개론 강의을 듣게 되었네요.
한 때 네트워크 분야에 한참 빠져있었기 때문에 더욱 기대가 되는 강의입니다.
데이터 통신은 3학년 강의로써 교재는 McGraw-Hill Education에서 출판한 데이터통신 2판을 사용합니다.
PARTⅠ 개요
- chapter 1 개요
- chapter 2 네트워크 모델
PART Ⅱ 물리층
- chapter 3 물리층 개요
- chapter 4 디지털 전송
- chapter 5 아날로그 전송
- chapter 6 대역폭 활용: 다중화와 스펙트럼 확장
- chapter 7 전송 매체
- chapter 8 교환
PART Ⅲ 데이터 링크층
- chapter 9 데이터 링크층 소개
- chapter 10 오류 검출과 오류 교정
- chapter 11 데이터 링크 제어(DLC)
- chapter 12 매체 접근 제어(MAC)
- chapter 13 유선 LAN: 이더넷(Ethernet)
- chapter 15 무선 LAN
목차구성이 OSI 7계층을 따르는 것 같기는 한데 물리와 데이터 링크 층 밖에 없네요. 데이터 통신 강의 전반적인 내용이 응용 계층 쪽 보다는 로우레벨 쪽 물리 계층에 초첨이 맞추어져 있나 봅니다. 예전에 CCNA를 공부하면서 네트워크를 미친듯이 파본 적이 있는데 그 당시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는게 재밌을것 같습니다.
정보시스템 개론은 2학년 강의로써 교재는 한경사에서 출판한 정보시스템 개론 4판을 사용합니다.
- 1장 현대 조직과 글로벌 환경
- 2장 정보시스템과 현대 조직
- 3장 윤리와 프라이버시
- 4장 정보보안
- 5장 지식과 데이터의 관리
- 6장 네트워크
- 7장 전자상거래: 활용방법과 관련 이슈
- 8장 무선통신과 현대 조직
- 9장 웹 2.0과 소셜 네트워크
- 10장 조직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
- 11장 고객관계관리와 공급사슬관리
- 12장 관리지원시스템
- 13장 정보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의 취득
사실 이미 개강이 3주 정도 지나서 하는 말인데, 정보시스템 개론은 뭔가 허공에서 허우적 거리고 있는 느낌입니다. 개론 수업 자체가 개념을 트는 느낌이라 그런건지 너무 광범위의 내용을 한 과목으로 묶어서 그런지는 알 수 없지만, 조금만 정신줄 놓으면 따라가기 힘들 것 같습니다.
제가 멋도 모르고 날뛰던 2010년 1학년 때 담당교수가 양정진 교수님이었습니다.
물론 저도 그 당시 딱 한번의 상담내용이 기억나지 않고 교수님도 기억나지 않으시겠지만 단지 제 담당교수였다는 이유 하나로 이제 군복학한지 한 학기 밖에 지나지 않은 4학기차 대학생에게 의미가 있네요. 하.. 열심히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