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오라클 인스턴트 클라이언트로 리눅스에 SQLPLUS만 설치시 서비스 식별자를 설정하지 못해 원격 접속을 못할 때가 있다. 윈도우에서는 Net Manager 같은 걸로 쉽게쉽게 설정 되는데..에휴
하여튼 서비스 식별자를 설정해주기 위해 tnsnames.ora 라는 파일이 필요하고 그 전에 이 파일의 위치를 환경 변수로 설정해줘야 한다.
export TNS_ADMIN = 디렉토리 경로
ex) export LD_LIBRARY_PATH=/usr/src/instantclient_12_1
나같은 경우는 그냥 SQLPLUS 와 같은 곳에 심기로 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profile 에 등록해두면 편하다.
해당 .profile을 적용하려면 source .profile 명령어 실행.
다음으로 해당 설정해준 TNS_ADMIN 위치에 tnsnames.ora 파일을 생성해 주어야 하는데 다음 링크에 설명이 잘 되어있다.
http://jmnote.com/wiki/%EC%98%A4%EB%9D%BC%ED%81%B4_tnsnames.ora_%EC%84%A4%EC%A0%95
이제 윈도우 안깔고도 SQLPLUS 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접속하려면 콘솔에서
sqlplus 아이디/비밀번호@서비스식별자
반응형
'컴퓨터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귀함수(Recursion)에 익숙해지려면... (1) | 2014.09.19 |
---|---|
기가 막히고 코가 막히는 피보나치 수열 재귀함수 (0) | 2014.09.18 |
[문제해결기법] 게으른 거미 (fail) (0) | 2014.09.18 |
SQLPLUS 리눅스 설치시 에러 해결 (0) | 2014.09.16 |
밥먹고하자04 : Mashup 구현에 사용할 관련 기술 (0) | 2014.07.02 |
밥먹고하자03 : Interoperability (상호 운영성)의 장점과 단점 (0) | 2014.07.02 |
밥먹고하자02 : 공공기관 Mashup 서비스의 적용 분야 및 서비스/해결문제 정의 (0) | 2014.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