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오버가 정말 안되기로 유명한 삼성 DDR5 5600 램이지만, 조금이라도 클럭을 올려봤다. 지금 사용 중인 PC 환경은 아래와 같다.
- Gigabyte X670E Aorus Master
- AMD Ryzen 7700X (Apply Curve Optimizer)
- Gigabyte RTX 4080 Gaming OC D6X 16GB
- Samsung DDR5 16G 44800 (5600 Mhz) x2
- 가상화 필요로 SVM Mode On (이걸 켜면 성능 소폭 하락)
순정 상태
6,000 Mhz 적용
6,000Mhz: 46-42-42-84
Latency가 소폭 오르긴 했는데, 클럭 향상으로 인한 성능 증가 폭이 더 큰 것 같아서 그냥 적용해서 사용 중이다. TM5 2회 정도만 통과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6,200 Mhz 이상 적용이나 CL 타이밍을 더 줄여보려 했는데, 모두 부팅 실패했다.
참고 사항으로 CPU에 Curve Optimizer가 적용되어 있다. (AMD 라이젠 7700X PBO2 언더볼팅으로 발열 최소화 / 성능 최적화). 주력 코어는 -20, 나머지 코어는 -25 적용 중이다. 몇 번의 테스트 결과 Curve Optimizer 적용 수치가 램 오버클럭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주력 코어 -25, 나머지 코어 -30 일 때는 6,000 Mhz 오버는 물론 5,600 Mhz에서 램 타이밍 줄이는 것도 모두 실패했다.
SK 하이닉스 5600 램 테스트 추가 (2023.03.19)
SK 하이닉스 5600 16기가 램 2장을 구하게 되서 6000 넣고 램 타이밍을 줄여보았다. 여전히 6000 이상 잘 올라가지 않던데, 원인은 잘 모르겠다.
반응형
'내맘대로 > 내맘대로포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D 라이젠 7700X PBO2 언더볼팅으로 발열 최소화 / 성능 최적화 (0) | 2023.02.24 |
---|---|
Windows 11 (윈도우 11) 설치 후 초기 셋팅 / 추천 프로그램 (0) | 2023.02.09 |
요우의 2022년 개발자 회고 (0) | 2023.01.25 |
예비/초보 개발자 자주 묻는 질문 QnA (지극히 현실적인 ver) (0) | 2022.12.14 |
IT 유목민의 보상과 이직 (0) | 2022.12.14 |
회사 업무용 사내 메신저 '슬랙 타입' vs '일반 타입' (0) | 2022.03.31 |
개발자 요우의 2021년 회고. 근데 2년치를 한방에 (3) | 2022.01.01 |